본문 바로가기
공부한 것들/경제와 재테크

연말정산(Feat. 1인가구)

by 흑백인간 2023. 6. 10.
반응형

 

직장인 연말정산 공제(Feat 1인가구)

 

1. 연말정산이란?

연간 받게 되는 급여소득에서 원천 징수된 세액의 과부족을 연말에 정산하는 것을 말하는데,

쉽게 말해 내가 1년간 받은 월급에서 뗀 세금, 실 수령액 그리고 쓴 돈에 대한 세금 등을 따져보고

덜 냈으면 걷고 더 냈으면 돌려주는 시스템이다.

 

2. 연말정산 방법

연말정산은 국세청 홈텍스(www.hometax.go.kr)에서 하는데

요즘은 간소화서비스라고 해서 직장인들은 클릭 몇 번으로 편리하게 연말정산이 가능하다.

보통 근소로득의 대상자인 직장인은 2월, 사업자(자영업자)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인 5월에 실시한다.

 

3. 공제의 종류

가장 중요한 공제가 많아야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공제는 크게 ① 소득공제 ② 세액공제 두 가지로 나뉜다.

 

① 소득공제

- 인적공제(부양가족 여부에 따른 공제)

- 연금 및 보험료 공제

- 주택자금 공제(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주택마련저축 등)

- 신용카드 공제(신용, 직불, 선불, 현금영수증 등)

- 기타(개인연금, 신탁, 증권저축 등)

 

② 세액공제

- 월세(원룸 및 아파트 등)

- 의료비(본인 및 배우자, 부양가족)

- 보험료(4대보험을 비롯한 및 각종 보험)

- 교육비(입학금, 수업료, 등록금 등)

- 기부금(법정 기부금 및 종교단체 기부금)

- 연금저축(연금저축, 퇴직연금 등 연금계좌)

- 중소기업 취업자

 

4. 1인가구의 공제

난 1인가구라 공제 항목이 거의 없다.

그렇다고 급여를 덜 받을 수도 없고 돈을 더 쓸 수도 없다.

그래서 소득공제는 크게 내 의지로 할 수 있는 부분이 없고

세액공제 쪽을 노려야 연말정산에서 혜택을 조금이나마 볼 수 있다.

월세의 경우 작년까지 공제를 받았었는데, 작년 9월에 주택을 구입하면서 공제받았던 금액을 토해냈다.

또한 교육비나 기부금을 연말정산을 위해 일부러 지출하는 건 바보 같은 짓이라 생각한다.

결국 세액공제를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연금저축을 가입하는 것이다.

2023년 기준 연금저축은 최대 900만원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다.

 

- 총 급여액 5,500만원 이하 = 세액공제율 15%

- 총 급여액 5,500만원 초과 = 세액공제율 12%

 

최근 총 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는 900만원이며, 연금저축의 경우 납입한도는 600만원이다.

즉, 연금저축계좌에 연 600만원을 납입하면 각자 연봉 상한선에 의해 최대 12~15%가 공제된다는 뜻이다.

연금저축 가입 하나만 해도 공제를 위해 따로 지출을 하거나 플랜을 설계할 필요가 없다.

 

5. 납입한 연금저축계좌로 주식매수

연금저축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기관은 많다.

보통 은행과 증권사가 있는데 증권사에서 개설해 주는 연금저축계좌의 경우 주식거래를 할 수가 있다.

그래서 내 경우는 연 세액공제를 받기 위한 맥시멈 금액을 연금저축계좌로 납입해서 세액공제를 받고

납입한 돈으 로 주식(ETF)을 적립식으로 매수하고 있다.

어차피 연금저축계좌는 5년간 해지할 수 없고 미래를 위해 저축한다는 개념을 기반으로

물가상승률을 고려해 재투자를 하면서 동시에 원금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