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부한 것들/경제와 재테크16 ETF 적립식 투자 실적(24년) 23년 하반기쯤 가지고 있던 국내 주식을 모두 매도해 버렸다.이제 막 상장해서 사람들 입방아에 오르내리는 종목 고르는 것도 지쳤고국내 정치와 경제상황에 따라 직, 간접적으로 치고 빠지는 기관 눈치 보는 것도 지쳤다.더욱이 국내 주식으로 어떻게든 그전처럼 일확천금을 노리고 있는 나한테도 지침ㅋ 그냥 적금이라 생각하고 연금저축에 적립식으로 인덱스펀드를 집어넣기로 함ㅋ [24년 02월 27일 스크린샷 저장] 주 거래 증권사 연금저축계좌 가입 후 적립식으로 미국 관련 인덱스펀드를 매수했음세액공제 혜택이 있어서 연말정산 때 주변사람들보다 많이 돌려받음ㅋ [24년 06월 20일 스크린샷 저장] 막상 스크린샷만 보면 오르기만 한 것 같지만 지속적으로 등락했음역시 모든건 결과론적인 것 같다ㅜ 과거의 등락은 중요치 .. 2024. 12. 20. 채권에 관한 기본 상식 채권 채권이란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돈을 빌렸다는 확인 증서의 개념임.언뜻 대출과 의미가 비슷할 수도 있는데 대출=개인, 채권=기관(회사)이라고 보면 됨.주식과의 차이 주식회사가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음. 1. 주식발행2. 채권발행 주식의 경우 배당금이 수익이 되고, 채권의 경우 이자채가 수익이 됨.또한 주식을 가진 주주는 경영에 참여할 수 있지만 채권은 경영참여는 불가능. 주식의 경우 존속기간은 영속적이지만 회사가 망할 경우 원금상환은 불가능함.반면 채권의 경우 존속기간은 제한적(만기)이지만 원금상환이 약속된 차용증서임. 특히 주식은 매도시점(변동) - 매수시점(변동) = 수익률이지만채권은 매도(상환)시점(고정) - 매수금액(변동) = 수익률인데 단, 금리가 상승하면 매수금액(시점)이 떨어.. 2024. 7. 2. 주식(주가)에 관한 기본 상식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지표 1) 경제성장률경제성장률은 GDP 증가율로 해당 국가의 산업에 대한 부가가치의 합이 커짐을 의미함.GDP 증가율이 높다면 적극적인 투자 신호로 해석 2) 경기선행지수 국내 혹은 국외 경제시장에서의 경제충격을 대비한 심리지표로 시장에 먼저 작용할 것 같은 지료를 말함.(예를 들면 코로나 19 확진자 증가 = 실질적 경제충격이 없지만 주가가 빠지는 현상) 3) 실업률 실업률 역시 경기선행지수와 비슷하게 실업한 실제 시점을 수치화한 것보다는 후행지표를 말함.(예를 들면 위드코로나 정책 시행 후 바로 경기회복이 아닌 일정기간 후 고용지표가 회복되는 현상) 공매도란공매도란 없는 주식을 미리 파는 것을 말함.개인(개별주주)이 접근하기 어려움.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면A : C한테 빌.. 2024. 6. 26. 무역 및 FTA의 개념과 무역을 해야 하는 이유 무역의 개념과 무역을 해야 하는 이유- 비교우위론 : 기회비용에 근거하여 국제 무역을 설명하는 이론(데이비드 리카도)- 절대우위론 : 생산비 특화 교역 이론(애덤스미스) A&B에 의한 예시 어떤 국가 A와 B가 광물과 곡식을 각각 자국의 특성에 맞게 생산한다고 가정하면 A의 24시간동안 광물생산량 = 10 곡식생산량 = 5B의 24시간동안 광물생산량 = 5 곡식생산량= 10 이러한 시스템을 '분업' 혹은 '전문화'라고 표현한다.즉, 무역이란 국가간의 분업체계를 의미하며무역을 통해 자국에서 생산할 수 없는 특정한 상품을 얻을 수 있는 효용성도 생긴다. FTA(Free Trade Area)FTA는 자유무역지대 혹은 자유무역협정이라고 한다.각 국가별 생산품을 수입, 수출할 때에는 ‘관세’가 붙게 되는데쉽.. 2024. 6. 26. 금리와 물가 금리와 물가 금리 = 돈의 가치물가 = 물건의 가치 ※ 금리와 물가는 반비례함.※ 물건이란 우리가 평소에 소비하는 재화뿐만 아니라 주식, 부동산 및 그 밖의 내구재를 모두 포함함. 금리가 상승하면 물가가 하락하는 이유 1. 물건과 돈의 가치는 반비례하기 때문2. 금리가 오르면 저축금리도 함께 오르기 때문- 저축금리가 오르면 주식이나 부동산으로 몰렸던 돈이 은행으로 물리게 됨.3. 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도 함께 오르기 때문- 대출금리가 오르면 부동산이나 기업의 투자 수요가 부족해지기 때문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 기준금리 :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금리- 시장금리 : 기준금리를 기반으로 한 은행 금리 경기부양책의 용어 정리 - 조세정책 : 세금을 어떻게 걷을 것인가- 재정지출정책 : 거둔 세금을 어디에 쓸 것인.. 2024. 6. 11. 경제와 총생산(GDP) 물질경제학에서 말하길 인간은 소비를 할 때 가장 행복하다고 한다. [GDP]GDP는 총생산으로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자다.GDP는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정부의 3대 주체(가계, 기업, 정부)가일정 기간동안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수치이다. GDP = C+I+G+netEx - C = Consumption(소비)- I = Investment(투자)- G = Government expenditure(정부지출)- netEx = 순수출(수출-수입) 예) 우리나라 연간 100대의 자동차를 만들어 수출하는 나라라고 가정하면 1. 소비 = 소비자가 자동차 구입2. 투자 = 기업이 자동차 구입3. 내수 = 소비+투자 및 정부지출4. 총생산= 소비+투자+.. 2024. 5. 20.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