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험 한 것들/취업과 직업

공무원vs공기업vs사기업 3편(대기업일수록 유리한 이유)

by 흑백인간 2023. 12. 31.
반응형

 

1편의 마지막 줄에 개인적으로 매겼던 순위 중 1번(대기업 입사 대기업 퇴직)

거시적이긴 하지만 개인이 창출할 수 있는 현금흐름의 수치로만 놓고 봤을 때

대기업에 입사하는 게  가장 생애소득을 많이 벌 수 있는 루트임은 변함이 없음.

근데 더 정확하게는 개인의 생애소득이 현금흐름에서 끝나지 않는다는 점이 중요함.

그런 의미에서 단순 현금흐름(월급)을 제외하고 자신의 자산을 증식시키는 방법인 ‘투자’라는 개념

그리고 자신의 현금흐름의 양을 증가시키는 형태의 ‘이직’이 있는데 사실 이 두 가지 요소가

사기업(특히 대기업)의 포지션에서 가장 유리하고 또 결과도 가장 드라마틱하게 나올 가능성이 큼.

 

A. 투자에 유리

투자는 대략 주식이나 부동산이 그 종류의 전부라고 봐도 됨(+@ 비트코인)

투자의 성격을 가지는 수단의 특성상 간단하게 아래와 같은 주요 요소가 큰 작용을 한다고 보면 됨.

 

- 투자금(금액)

- 투자시기(언제)

- 투자기간(회수기간)

 

이 세 가지 요소를 생각해 보면 위 그래프에서 초록 배경 구간이 가장 적기임을 알 수 있는데

그 시기에 가장 많은 현금흐름을 가지는 루트는 당연히 대기업임.

당연한 말일지도 모르지만 리스크 회피를 위해 투자금 자체를 적게 해 버리면 당연히 수익도 낮음.

투자시기가 위 그래프에서 노란 배경 구간 쪽으로 치우치면 치우칠수록 회수기간이 너무 길어짐.

또한 사기업(대기업)이 전략적으로 공무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하기 어려운 구간이 노란배경 구간인데 이 구간을 회수기간으로 설정해 놓으려면 최소한 초록배경 구간의 중반엔 투자를 시작해야 함.

따라서 초록 배경 구간에 가장 많은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장 많은 투자금액을 설정할 수 있는데, 대기업이 어찌 보면 현재 그리고 미래에도 가장 경제적 우위의 포지션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

사실 근데 대기업이건 뭐건 기업의 형태가 중요한 건 아니고 그냥 저 구간에 돈이 제일 많으면 됨ㅋㅋ

 

B. 이직의 자유

일단 공무원이나 공기업 계열 공공분야는 이직 자체가 크게 경제적 이익으로 작용하지 않음.

지역에 대한 메리트? 정도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고 더욱이 전혀 상반되는 루트(공무원 > 사기업)로의 이직은

수용처가 허락하지 않음ㅋ 반면 사기업은 이직으로 본인 연봉의 상승이 종종 이뤄지는데 힘들어서 하는 도피성 이직을 제외한 스카웃계열의 이직 그리고 사기업(대기업)의 가장 취약한 구간인 노란 배경 전후 구간에 특히 대기업의 경우 관련 업계의 하청이나 중소기업으로 이직해서 제2의 직장생활을 이어가는 사람이 꽤 있고(난 실제로 많이 만나봄), 이 기간을 무탈하게 제2의 회사에서 고연봉을 받으며 보낸다면 거의 완벽하게 노란배경 구간을 이전처럼 공무원 및 공기업보다 경제적 우위를 점하며 보낼 수 있겠지만 그것도 자연스레 되지 않기에 상당한 노력이 필요함(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상황은 아님).

다만 N가지의 가능성을 두고 개인 역량에 따라 상황을 만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름.

 

결론적으로 모든 직장인이 투자를 한다고 해도 사실상 가장 유리한 포지션임은 분명하고

나 같은 경우 대기업은 아니었지만 신규상장에 성공한 케이스였고 스톡옵션이나 우리사주를 할 수 있었음.

확실히 공무원이나 공공기관에 비해 투자나 재테크에 관한 지식을 함양하기에 좋은 환경임은 분명함.

(주변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 학습환경, 관심분야와 같이 내 주변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함)

물론 그냥 환경일뿐 개인의 노력여하에 따라 극복은 가능함(주변 환경이 별로라면 과감히 쳐낼 수 있어야 함)

다만 이직의 경우는 공무원&공기업은 전혀 메리트를 찾을 수 없는 부분이고 그나마 한다고 하면 상위랭크의 공기업으로 가거나 본인 연고지가 아닐 경우 혹은 살고 싶은 도시가 있는 경우 그 도시로 전출 가는 정도의 소소한 이직이 전부일뿐임.

민간기업처럼 스카웃이나 대기업 > 하청으로 가면서 연봉&직급을 두세 단계 올려치는 사례는 말도 안 됨ㅋ

반응형

댓글